곡물협정 이란?
흑해곡물협정이라고도 합니다. 22년0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뒤 급격하게 상승한 곡물가로 국제 식량 시장에 충격이 가해지자, 22년07월 유엔과 튀르키예의 중재로 체결한 협정 입니다. 이 협정은 러시아가 흑해를 통한 우크라인 곡물수출 선박의 안전을 보장하는 내용이며, 이 협정은 120일 기한으로 22년11월과 23년03월에 두 차례 연장 된 바 있습니다. 여기에서 23년 3월에 연장한 내용에 러시아는 협정이 2023년5월18일까지로 60일만 유효 하다가 주장하는 반면, 우크라이나는 애초 정한 120일간 협정이 유효 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곡물협정 왜 이슈인가?
러시아가 주장하는 2023년5월18일의 기한이 다가오고 있으며, 곡물협정이 파기 될 가능성이 여기저기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당초 120일간의 협정 유효를 주장하지만 러시아가 러사아산 곡물과 비료의 수출 제한을 풀기고 한 협정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고 기한 또한 60일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를 빌미로 협정탈퇴 라는 카드를 꺼내들고 위협을 하고 있기 때문 입니다.
곡물협정 관련뉴스
[이 시각 세계] 곡물협정 회담장서 우크라이나-러시아 참가자 주먹다짐 (imbc.com)
우크라 곡물 수출 다시 먹구름…4자 회담서 연장 협상 삐그덕 (msn.com)
협정 회담장 분위기가 당장 좋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서 지속적으로 곡물 관련주들 수급을 받고 있는 상황 입니다. 하지만 제 개인적으로는 앞으로 곡물은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협정도 문제가 있지만, 이상기후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관심 받는 섹터가 아닐까 싶은데요. 올 해 전례없는 엘니뇨 현상이 예상 된다고 합니다.
엘니뇨 현상은 우리나라 기준 겨울에 가장 극심하게 나타난다고 하는데요. 올해 내년도 지속적으로 이 엘니뇨가 곡물관련 종목들을 계속 이끌어 가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측 해보고 있습니다.
곡물협정 관련주
곡물에 대한 관련주는 앞으로 좀 더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으며, 오늘은 현재 기준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종목 위주로 나열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곡물섹터는 농업 , 비료, 농기구 등의 섹터로 분류해서 지속적으로
포스팅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미래생명자원(218150)
사료를 생산 공급 하는 업체 이며, 쿠팡에 ODM방식으로 사료관련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단미사료 및 보조사료를 주로 생산하는 업체 입니다.
-팜스토리(027710)
팜스토리는 이지바이오,이지홀딩스 그룹의 기업입니다. 사료 축산을 전문으로 하고 있으며,
사료 사업과 육가공 사업을 같이 하고 있습니다.
배합 설계 기술을 바탕으로 고품질 전문 곡물 사료 사업을 진행 중 입니다.
-한일사료(005860)
양계,양돈,축우용 배합 곡물 사료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업체 입니다.
-효성오앤비(097870)
비료관련 업체로써 혼합유기질, 유기복합, 기능성 바이오제품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유기질비료가 주 생산품으로써 주요 회사 매출에 8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케이씨피드(025880)
배합사료를 주 생산품으로 사업을 하고 있으며, 한일사료와 마찬가지로 양계,양돈,축우용 등의
배합사료 제조를 전문으로 하고 있으며, 맞춤형 사료 생산도 진행 중입니다.
-한탑(002680)
소맥분과 배합사료 사업을 하고 있는 업체이며, 밀가루와도 깊게 관련 되어 있는 종목입니다.
마지막으로 곡물관련주는 현재 사료에 국한되어 움직이고 있지만, 올해 겨울을 지나면서
더 큰 이슈로 부각 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 됩니다. 동물에게만 곡물이 중요한게 아니라
전 인류가 곡물이 매우 중요 할 것입니다. 앞으로 다가올 이상기후 그리고 전쟁 그 전쟁으로 인한
기아현상 등 앞으로 곡물이슈는 계속 발생 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 됩니다.
앞서 말씀 드렸지만 지속적 포스팅에서 곡물, 비료, 농기계, 종묘, 엘니뇨가 가져올 삶의 변화등을
미리 체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오늘 아미노로직스가 장 중에 큰 움직임을 보여줬는데요. 이게 곡물과는 관련이 없는 회사이지만
곡물 가격 급등으로 인해 아미노산을 곡물대체제로 주목 받고 사료용아미노산을 생산하고 있다는 뉴스로
순간적인 급등을 보였습니다.
이렇게 배터리도 배터리대체제 섹터가 형성 되었듯이, 곡물대체제 섹터도 형성 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측해보면서 이번 포스팅 마무리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