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
주기율표의 17개 화학원소의 통칭 입니다.
이들을 희토류로 통칭하는 이유는 서로 화학적 성질이 유사하며,
광물 속에 그룹으로 함께 존재 하기 때문 입니다.
말 그대로 희귀 해서 희토류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사실상 지구상에 굉장히 광범위 하고 풍부하게 분포 되어 있습니다.
전 세계 매장량이 구리 매장량과 비슷하다고 하네요.
희토류의 각각의 원소들이 광물 형태로는 존재 하질 않아 희토류라고
불린다고 합니다. 즉, 우리가 알고 있는 원소들은 정제를 해야만이
얻어낼 수 있는 물질 입니다.
희토류의 문제
희토류는 매장량은 풍부하지만, 엄청난 정제 과정을 거쳐야만이 우리가 알고 있는
각 소재들을 얻어낼 수 있기 때문에 환경오염 문제를 일으킨다고 합니다.
그로 인하여, 각 나라가 정제공장을 안만들지 않았나 싶은 생각 입니다.
다른 나라가 정제를 하지 않는 와중에 이 희토류를 중국이 가장 많은 정제를
하면서, 2017년 기준 전세계 공급량의 약 81%를 혼자 독차지 하게 된 것 계기가
지금의 희토류 산업 무기화 라는 이슈를 만들어 낸 것 같습니다.
이로 인하여 주식시장의 핫 키워드가 된 종목들이 희토류 관련주 입니다.
EG , 유니온 , 유니온머티리얼 , 동국알앤에스 , 쎄노텍 , 노바텍 등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전기모터 핵심 부품중 네오디뮴자석을 대체할 페라이트 또 한
핫 키워드 중 하나 입니다.
페라이트 관련주로는 성문전자 , 한일화학 , 유니온머티리얼 , 삼화전기
케스피온 , 라이콤 , 씨큐브 , 상신전자 등이 있습니다.
희토류의 무역분쟁
사실상 미국의 주도로 중국 vs 미국외 기타 국가의 무역분쟁 싸움으로
보이는 상황 입니다.
중국은 2006년 부터 희토류 수출에 관세를 부과 하면서, 쿼터제를 시행 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중국 의외의 시장에서 희토류 가격이 급등 하면서 분쟁이 발생 되었는데요.
이렇게 되면 중국업체의 희토류를 활용한 제품가격과 그외 국가가 중국에게서
재료를 받아 만든 제품은 가격차이가 엄창나게 벌어지게 되는 것이죠.
이렇게 되어 미국은 WTO회원국이 따라야 할 차별금지 원칙 이라는 카드를 꺼내들게
됩니다.
미국은 중국의 제재에 대해 WTO에 소송을 제기하였고 EU와 일본도 같이 미국측 입장으로
해당 소송에 동참 하게 됩니다.
미국은 2001년 WTO에 중국이 가입할 때 서명한 가입 조약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고,
해당 조약은 조약서 내에 나열된 제품을 제외하고 술추 관세 및 쿼터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내용이였는데 그 조약서에 희토류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WTO는 미국의 손을 들어주었고 2015년 10월 중국은 수출 규제를 해제 할 수 밖에
없게 되었었는데요.
해당 내용으로 다시 중국이 희토류 무기화 카드를 꺼내들게 되면서
국내 주식시장에서도 희토류 관련 종목들이 급상승 하고 있습니다.
희토류 무역분쟁으로 인하여 눈여겨 봐야 할 제품들
처음 말씀드린대로 희토류는 17개의 금속이 있습니다.
또 한 엄청나게 복잡한 생산 과정을 거치는 공정 입니다.
수출에 있어 채굴 된 광석이 될 수도 있고, 정제 된 광석이 될수도 있으며,
정제된 고순도 금속들 또는 그 정제된 금속들로 만든 제품들 일 수 있습니다.
중국이 우리가 대중적으로 알고 있는 희토류무기화 카드에서 눈여겨 봐야 할
소재 부분은 니켈, 구리, 코발트 라고 생각합니다.
니켈 관련주 : 하이니켈 , 동국산업 , 다이나믹디자인 , 티플랙스 , 이엔플러스 , 황금에스티 등
구리 관련주 : 이구산업 , 국일신동 , 가온전선 , 풍산 , LS
*특히 구리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와도 많이 관련이 있어,
앞으로 공급이 부족해지고 국제 가격 또 한 더 많이 상승 할 것이라 예상 됩니다.
코발트 관련주 : 성일하이텍 , 포스코퓨처엠 , 인선이엔티 , 코스모화학 , 코스모신소재 , 휘닉스소재 등
물론, 리튬도 있지만 다들 아시다시피 우리나라도 리튬에 진심으로 채굴을 하고 있기 때문에
리튬은 따로 언급 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제품 쪽에서는 어떤 것들을 참고 해봐야 하는지 정리 해 보면,
리튬이온배터리 , 네오디뮴 자석 , 음극재 , 양극재 , 분리막 , 전해질 등이 있으며,
모두 배터리 관련 부품 또는 배터리 그리고 전기차 모터에 사용하는 자석 들입니다.
최근 엄청나게 핫한 키워드 들만 모여 있네요.
중국은 뱉터리 셀 생산에... 78%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네오디뮴은 테슬라의 탈 중국화 선언으로 대체품인 페라이트 라는 관련종목들이
급등을 보이고 있고요. 그외 음극재 , 양극재 , 분리막 등의 종목들은 너무도 다들 잘 알고
계실꺼라 따로 언급하진 않겠습니다.
페라이트 관련 종목은 페라이트 관련 포스트를 참고해보시면 간단하게 정리해 놓았습니다.
페라이트 관련 종목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계속 늘어나고 있네요...
페라이트가 아주 조금이라도 묻었다 하면 모두다 페라이트 테마로 엮여 떡상 중이니깐요ㅎㅎ
지금까지 희토류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봤으며, 중국의 희토류 무기와 미국의 IRA법 등
앞으로 가면 갈수록 광물전쟁이 더욱더 뜨거워 질 것으로 보입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지속적으로 구리쪽에 관심이 많이 갑니다.
왜냐 하면 충전인프라가 구축 되려면 엄청난양의 구리가 필요 할테니깐요.
최근 주춤 했던 국제 리튬가격도 점점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하니,
리튬 관련도 눈여겨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